문자 서체의 종류
한글 고딕체/명조체
영어 산세리프/세리프
명조체와 세리프체의 특징
획의 끝에 세리프라는 장식이 있고, 가독성이 뛰어나며 획이 굵다면
권위적, 역사적, 남성적, 성인 등, 얇다면 유연, 모던, 중성, 품격등의 느낌을 줄 수 있다.
고딕체와 산세리프체의 특징
세리프가 없으며, 가로획가 세로획의 굵기가 균등한 서체이다.
높은 시인성을 가지고 있으며, 획이 굵다면 강력한, 특특한, 남성적, 엄격한, 안정감 등이 있고 얇아질수록 밝은, 섬세한, 여성적, 도시적인 느낌이 있다.
서체와 폰트의 차이
서체는 동일한 콘셉에 따라 디자인의 스타일을 글자체를 말하고, 한글에서는 명조체 고딕체가 여기에 해당되며
영문에서의 폰트는 금속 활자를 이용해서 인쇄하던 시대때 사용되던 단어로 과거에는 폰트의 크기가 달라져도 다른 종류로 인식했다.
다만 현시대에는 서체와 폰트는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프로포셔널 폰트
문자의 폭의 정보가 처음부터 정해져 있는 폰트이다.
입력할 때 자간이 자동으로 조절이된다, 후에 자간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밸런스가 좋은 문자 배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영문 폰트를 사용할 때엔 한글 폰트를 사용하지 말고,
영문 폰트를 사용하여 프로포셔널 폰트를 사용해야 한다.
등배/등차
문자를 이용할 때엔 커닝을 신경써서 좁은 구간과 늘려있는 구간을 잘 구분해서
일일이 눈으로 조절하는 연습을 한다. 이런 연습이 반복되다보면
타이포의 기본을 잡을 수 있다.
문자의 크기기로 입체감을 만들 때 어느정도 차이를 두어야할지
고민된다면 등배와 등차를 기본으로 하여 차이를 주면 편하다.
명확성을 좀 더 강조하고 싶다면 등배를 이용하면 된다.
등배 12pt / 24pt / 48pt
둥차 13pt / 15pt / 18pt
영문 서체 - 장식 테크닉
영문은 한글과 달리 복잡함이 없으며, 문자 자체가 기호와 같이 심플하기에
가독성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용도로
문자를 사용하기 보다는 지면을 연출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아이콘화
정보와 문자에 강약을 주기 곤란한 경우 문자를 아이콘화하면 쉽게
주목도가 높은 디자인을 만들 수 있다.
아이콘화에서 중요한 점은 명확하게 차별화시키는 것이다.
미묘한 차이로는 독자에게 주목성을 알려줄 수 없다.
아이콘화의 포인트
1. 소구력이 있거나, 반드시 전달해야 하는 문자는 겉에
테두리를 친다.
2. 전체가 하나의 덩어리로 보기에 디자인한다.
3. 숫자는 영문 서체를 사용하고, 크게 표시한다.
문자에 테두리를 만들 때에 주의할점
1. 굵은 서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사용하는 색의 수를 줄인다.
3. 색의 차이를 확실하게 준다.
4. 그라데이션을 줄 땐 동일 색계열을 활용하여, 톤의 차이를 줄인ㄴ다.
5. 문자 바까타에 테두리를 준다.
마법의 디자인을 보며 공부한 내용입니다.
'각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서리스 용병 아이템 셋팅 - 안다 뚜껑, 인내, 무한의 공간(무공) (0) | 2019.11.12 |
---|---|
인포그래픽 공부 - 차트 제작 흐름, 표디자인의 포인트 (0) | 2018.09.11 |
디자인 공부 - 몽타주 이론, 사진 레이아웃, 트리밍 기법, 페이스비율 색의 표현감정 (0) | 2018.09.11 |
스토리보드와 모션그래픽 영상제작의 중요성 (0) | 2018.07.01 |
윈도우10 익스플로러 멈춤, 응답없음 해결하기 (0) | 2017.01.30 |
댓글